건설공제 노조 "운영위, 경영 개입 과해"…조합 "정관 등 절차 따른 것"
건설공제 노조 "운영위, 경영 개입 과해"…조합 "정관 등 절차 따른 것"
  • 남정호 기자
  • 승인 2025.02.18 15: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 독립성'·'의사결정 구조' 두고 갈등
건설공제조합 노조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지배구조 개선 및 자율 경영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했다. (사진=남정호 기자)
건설공제조합 노조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지배구조 개선 및 자율 경영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했다. (사진=남정호 기자)

건설공제조합 노조가 조합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운영위의 경영·인사 개입이 선을 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합 사측은 의사결정 구조는 규정과 정관을 따르고 있다고 해명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건설공제조합 지부(이하 노조)는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지배구조 개선 및 자율 경영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노조는 건설공제조합(이하 조합)에 오랫동안 대통령실과 정치권의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면서 자율 경영이 심각하게 침해돼왔다고 비판했다. 

특히 운영위원장의 과도한 경영·인사 개입으로 이사장의 고유한 권한이 침해되고 있어 '건설산업기본법'과 이법 시행령 개정 등을 통한 지배구조 개선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조합 의사결정기구로는 이사장이 이끄는 이사회 외에도 운영위원회가 있다. 노조는 이 운영위가 옥상옥(屋上屋) 기구로 조합 내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창성 노조 지부장은 "운영위는 권한만 있고 책임이 없는 그야말로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폐단이 있다"며 "특히 운영위원장을 하게 되면 조합 내에서는 대통령 이상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노조는 이런 영향으로 지난 3년간 조합 영업점이 39개에서 16개로 줄고 인력도 450명에서 390명으로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신규 채용이 급감하는 등 추가적인 인력 감축도 계속 이어질 거라는 우려도 제기했다.

노조는 차기 이사장 선임 과정에서 현재 조합 운영위가 이사회의 상위기구로 존재해 운영위원장의 지나친 경영 개입과 인력 감축 요구가 또다시 재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와 운영위, 조합에 △공정하고 투명한 이사장 선임 절차 보장 △조합 자율 경영 보장 및 정상화 추진 △운영위원장의 과도한 경영 개입 중단 및 지배구조 개선 △신입직원 채용 정상화 및 인력 감축 중단 등을 요구했다.

이 같은 노조의 주장에 대해 조합 관계자는 "(조합) 최고 의사결정 기관이 운영위다 보니 '운영위 입김이 많이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건데 저희 의사결정 구조 등은 규정이나 정관에 정해진 절차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합은 19일 총회를 열고 차기 이사장 후보로 추천된 이석용 전 농협은행장을 새 이사장으로 선임할 예정이다.

south@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