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기업 91.6% 목표 수립했지만 절반가량 '계획 없다'
투자비용·감축수단 부족 애로…'탄소감축 투자' 최우선
탄소중립 이행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탄소감축 투자와 기술개발, 재생에너지 기반 구축 등 정부의 과감한 기업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는 국내 346개사를 대상으로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91.6%는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했지만 절반에 가까운 47.4%는 아직 추진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기업들이 정부 탄소중립 목표에 발맞춰 목표를 세웠음에도 실제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애로사항이 많아 적극 나서기 어려운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 이행의 가장 큰 애로로 ‘투자비용 부족(34.1%)’을 꼽았다. 이어 △탈탄소기술 등 감축수단 부족(26.9%) △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15.3%) △정책 불확실성과 불합리한 규제(14.2%) △관련 정보 부족(9.5%) 순이다.
응답기업의 83.2%는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정부 정책자금을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희망하는 자금 지원방식으로는 93.8%가 ‘보조금(재정지원)’을 선호했다. 지원 희망 분야는 △기존 설비 개선(39.6%) △신규 감축시설 투자(37.9%) △감축기술 개발(22.5%) 순이었다.
기업들이 정부에 바라는 최우선 정책과제로 ‘탄소감축 투자 지원(40.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탄소감축 기술 연구개발 지원(20.2%) △재생에너지 기반 구축(14.7%) △법제도 합리화(13.9%) △저탄소제품 수요창출(9.0%)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특히 탄소감축 기술 연구개발(R&D) 지원과 관련해 ‘기존설비 효율향상 기술(29.1%)’을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로 답했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3.8%) △공정가스 대체·저감 기술(19.7%) △자원순환 기술(14.7%)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12.3%) 등도 희망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해외 제조기업들은 저탄소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 지원을 받아 대규모 R&D와 설비투자를 경쟁적으로 하고 있다”며 “기업이 주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국가적 차원의 탄소중립 이행 해법을 모색하고자 오는 4월 말 ‘탄소중립 국제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