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조 반도체 저리대출 프로그램…AI전용 대출 신설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2030년까지 AI컴퓨팅 센터 구축에 4조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27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AI혁신 생태계 조기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최근 선진국들의 대규모 AI 투자 기류와 정책 변화를 고려해 내년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골든타임으로 보고 인프라 조성에 전면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총 4조원 규모의 민관 합작 투자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저리대출 프로그램 적용 대상에 AI컴퓨팅 인프라를 포함한 AI전용 대출을 신설한다.
또 AI반도체와 서비스산업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9000억원에서 내년 1조1000억원으로 확대해 차세대 AI 생태계를 선점한다.
국내 AI업계의 인재 부족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는 AI 특성화대학원 확충 등에 2000억원을 투입한다.
전력, 세제, 금융 등 핵심 인프라 투자 및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급증하는 AI 전력수요에 대비해 소형원자로(SMR) 설계·운영기술·안전성 강화 기술개발을 확대하고 민간 AI 투자 촉진을 위해 AI 분야를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번 AI 생태계 투자 방안은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과 빅테크 기업에 비해 한국이 뒤처진다는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추진됐다.
국내 첨단 GPU(H100) 보유량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비교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에서 확보한 첨단 GPU는 2000장에 불과한 반면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15만장에 달했다.
기업·연구자들도 AI컴퓨팅 부족으로 AI를 연구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지난해 발표한 AI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AI기업 중 53%가 AI컴퓨팅 파워 부족 애로를 호소했다.
또 정보통신기획평가원(ITTP)에 따르면, 미국을 100점으로 놓고 봤을 때 한국의 AI 지수는 2021년 89.1에서 2022년 88.9로 하락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AI 예산을 전년 대비 약 25% 증가한 1조8000억원 편성한 상황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향후 범용기술로서 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AI 경쟁력은 곧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을 의미한다”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가AI위원회를 중심으로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