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이달초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이후 확산 중인 ‘전기차 공포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29일 참고자료를 통해 "일부 잘못된 정보와 막연한 오해가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며 "최근 전기차 화재의 언론 보도가 늘어나며 ‘전기차는 화재가 많다’는 인상을 주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자동차 1만 대당 화재 건수는 지난해 기준 비전기차는 1.86건, 전기차는 1.32건으로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며 “전기차 화재 발생 비율은 비전기차에 비해 30% 정도 낮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소방청의 화재 통계는 충돌 사고, 외부 요인, 전장 부품 소손 등에 따른 화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고 초소형 전기차, 초소형 전기화물차, 전기삼륜차까지 함께 집계되기 때문에 이런 요인을 제외하면 승용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만의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한 사례는 훨씬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화재는 열폭주 때문에 진압이 어렵고 차량이 전소돼야 불이 꺼진다’는 주장도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고 지적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로 기타 부품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대부분의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열폭주를 수반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배터리팩은 고도의 내화성, 내열성을 갖춰 배터리 이외 요인으로 화재 발생 시 불이 쉽게 옮겨붙지 않으며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최신 전기차에는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키는 기술이 탑재돼 조기 진압 시 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화재 완전 진압까지 걸리는 시간이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더 오래 걸려 피해가 크다는 것도 대표적인 오해라고 주장했다. 최근 들어 전기차 화재진압을 10분 내외까지 단축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도 등장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초기 진압은 단시간에 이뤄지더라도 이후 혹시 모를 배터리 화학 반응에 대비해 차량을 일정 시간 소화수조에 담가 놓거나 질식포로 덮어 모든 배터리 에너지가 소모될 때까지 관리한다”며 “다만 이 과정은 소방청 관리하에 안전하게 이뤄지고 주변에 화재 피해를 확산시킬 수 없으므로 긴 화재진압 시간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의 열폭주를 동반해 온도가 1000도 이상으로 치솟기 때문에 내연기관차 화재보다 위험하고 피해가 크다는 주장도 사실과는 다른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1킬로와트시(kWh)의 열량은 3.6메가줄(MJ)로 가솔린 1리터의 열량 32.4MJ 대비 크게 낮다”며 “같은 용량이라면 열량이 높은 연료를 싣고 있는 내연기관차의 화재 확산 속도가 더 빠르고 차량 외부 온도도 더 높이 오르는 편”이라고 전했다.
지하주차장 등 실내에서 자동차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전기차, 내연기관차 등의 차량 종류와 무관하게 스프링클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주장했다.
한국화재소방학회가 4월 발행한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소화 실험’ 논문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작동만으로도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 전이를 차단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전기차 화재에 특화된 하부 스프링클러까지 설치된다면 배터리 열폭주 가능성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최근 일부 지자체가 배터리 충전량(SoC) 90% 이하의 전기차만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출입을 허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충전량은 화재 발생과 연관성이 미미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도 지적했다.
현대차와 기아 등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배터리를 100%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했다는 설명이다. 고객에게 보여지는 시스템상의 100%가 실제로는 100%가 아니며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과충전을 차단하고 제어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기후 위기의 시대에 탄소 감축을 위해 전기차 전환은 필수불가결한 선택이라는 점에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있다”며 “전기차 캐즘을 극복하고 전기차 시대에 발맞춰 합류하기 위해선 전기차 관련 오정보의 확산을 막고 올바른 해법을 추구하기 위해 제조사 및 정부를 비롯한 사회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 셀 제조사와 함께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BMS를 통한 사전 진단으로 더 큰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배터리 이상징후 통보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