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에 이어 의대교수들까지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을 보이면서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모양새다.
정부 증원 방침 요구에 40개 의과대학이 총합 3000명 이상 증원을 바란다는 신청서를 내자 의대 교수들은 삭발과 사직, 겸직해제 등으로 단체행동 움직임을 기사화하고 있다.
6일 정부에 따르면 전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전공의 7000여명에 대한 '최소 3개월 면허 정지' 행정처분 절차에 들어갔다.
정부는 업무개시명령에도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겠다고 각 수련병원에 업무개시명령 불이행 확인서를 낸 전공의 7854명에 대해 현장점검을 거쳐 행정처분 사전통지서를 발송하고 있다.
100개 수련 병원 중 현장 점검이 이뤄지지 않은 병원을 계속해 찾아 전공의의 복귀 여부를 판가름한 뒤 미복귀 전공의에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보낼 예정이다.
정부는 처분이 임박했다는 내용을 담은 사전 통지서 발송 이후 행정절차법에 따라 전공의들에게 의견 진술 기회를 준다.
정부의 압박수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전공의들의 이탈은 이어지고 있다. 의대 교수들까지 각 대학의 증원 신청에 불만을 나타내며 단체행동을 하겠다고 나서 의료대란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강원대 교수 10여명은 의대 건물 앞에서 삭발식을 열었다. 경북대병원 한 외과교수도 사직의 뜻을 밝혔다. 서울대병원 교수 일부는 김영태 서울대병원장과 김정은 서울의대 학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사퇴하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수술을 축소하고 진료를 연기하던 데에서 더 나아가 병동을 통폐합하고, 병상수를 대거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부분의 의대 교수는 학교 강의와 병원 진료를 동시에 하는 '겸직' 신분인 경우가 많은데, 겸직을 해제해 환자 진료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 교수들도 적지 않다.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 교수들까지 이탈하면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성명에서 "의료공백 속에 우리 중증질환자들은 긴장과 고통으로 피가 마르고 잠을 못 이루고 있다"며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