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충격 요법 필요한 '지방 미분양'
[기자수첩] 충격 요법 필요한 '지방 미분양'
  • 서종규 기자
  • 승인 2025.02.06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이에 따른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아파트 분양 경기가 얼어붙고 있다. 분양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관련 지표는 연일 악화하고 있고 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사들의 전망도 어둡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아파트 공급자 사업 여건을 조사한 지표인 '아파트분양전망지수'(기준선 100)는 지난달에 전월 대비 10.4p 내렸다. 같은 기간 주택 공급자 관점에서 사업 경기를 판단하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14.1p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지역별 청약 양극화도 지속할 전망이다. 가뜩이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 수요자들의 청약통장 사용이 더 신중해지는 모습이다.

지난 4일 1순위 청약받은 '래미안 원페를라'는 268가구 모집에 4만635건을 접수해 평균 경쟁률 151.6대1로 청약을 마쳤다. 대형 건설사가 강남권에 공급하는 단지인 점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는 점이 청약 흥행에 영향을 미친 모습이다.

반면 같은 주 지방권에서 입주자를 모집한 '남울산 노르웨이숲'은 전 주택형이 1~2순위 내 공급 호수보다 많은 입주자를 모으는 데 실패했다.

지방 미분양은 이미 심각한 상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173가구다. 이 중 비(非)수도권 물량은 5만3176가구로 전체의 75.7%를 차지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마찬가지다. 작년 12월 기준 전국 악성 미분양은 2만1480가구다. 이 중 지방 악성 미분양 물량은 전체의 80.2%인 1만7229가구다.

취재 중 만난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정국 불확실성으로 당분간 분양 물량 자체가 적을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지역별 양극화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방 미분양 해결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지방 미분양에 대한 우려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달 4일 경제 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에서 비수도권 미분양 사태와 지방 건설 경기 침체 해결을 위해 '파격을 넘어 충격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분양은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자와 국내 건설 경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악화하는 건설업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해서라도 지방 미분양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seojk0523@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