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Q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89, 반도체만으론 회복 역부족
3Q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89, 반도체만으론 회복 역부족
  • 장민제 기자
  • 승인 2024.06.30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분기 대비 10p 하락, IT수출 호조에도 내수·중소기업 부정적
철강·비금속광물·유화 부진…중기 과반수 “상반기 목표 힘들어”
최근 3년간 대한상의 제조업 BSI 전망치 추이.[이미지=대한상의]
최근 3년간 대한상의 제조업 BSI 전망치 추이.[이미지=대한상의]

올 3분기 제조업 체감경기 전망이 하향됐다. 반도체는 호황이지만 다른 업종에서 부정적 전망이 고루 확산된 영향이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2238개 제조기업 대상 ‘2024년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9로 집계됐다. 전분기(99)대비 10포인트(p) 떨어진 수치로 1분기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BSI는 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이하면 그 반대다.

3Q BSI 부진은 수출기업들의 경우 IT경기 상승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내수·중소기업이 부정적 전망을 보인 탓이다.

수출기업의 3분기 전망치는 ‘94’인 반면 내수기업 전망은 전분기 대비 10p 하락한 ‘88’로 집계됐다. 이는 수출 회복세가 반도체 등 일부업종에 국한되고,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측되면서 내수기업들의 우려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해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3분기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부정적 전망이 전분기보다 높아졌다. 반면 내수기업의 부정적 전망 상승폭이 컸고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망치를 보였다. 

3분기 경기전망이 상승하면서 기준치 100을 상회한 업종은 ‘반도체’가 유일했다. 

반도체의 경우 3분기 전망치가 전분기 대비 8p 상승하며 ‘122’를 기록했다. AI 확산 등 IT 경기가 살아나며 고부가 메모리와 장비 수요 모두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의료·정밀기기’와 ‘전기장비’ 업종도 3분기 경기전망이 각각 ‘108’과 ‘101’로 집계돼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다만 2분기 전망치 대비 각각 11p, 16p 하락하며 반등세가 꺾인 모양새다. 의료·정밀기기는 미용 및 의료기기 수출 수요가 지속되고 있지만 의료파업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기장비’ 업종은 IT 경기 회복에 따른 전력·전선 수요 증가와 미국 전력망 인프라 교체가 호재로 작용했으나 배터리 기업 중심으로 부정적 전망이 증가했다. 

‘철강’, ‘정유·석유화학’, ‘비금속광물’ 등 전통 제조업은 부진한 업황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79)은 전방산업 부진, 중국 및 일본의 값싼 수입재 유입 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정유·석유화학(85) 업종도 주요 시장에서 중국 저가 공세가 본격화되며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비금속광물(67) 업종은 건설 자재 수요 감소와 장마, 폭염 등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3분기 전망치가 가장 낮은 업종으로 조사됐다. 

전분기(105) 대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제약(78) 업종은 원재료 원가 상승 부담에 의료 파업에 따른 수주 감소가 겹친 탓이다.

응답기업 중 60.9%는 상반기 영업실적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15.3%는 ‘크게 미달(10%초과)’, 45.6%는 ‘소폭 미달(10%이내)’로 답했다.

기업규모별로 봤을 때, 대기업(48.8%)과 중견기업(48.6%)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란 응답이 과반수에 못 미쳤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63.3%의 기업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 ‘내수소비 위축’(42.7%)과 ‘유가·원자재가 상승’(17.7%)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서 ‘고금리 장기화’(12.7%), ‘해외수요 부진’(12.5%), ‘환율변동성 확대’(7.7%)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상반기 수출 개선에도 고금리, 고물가가 소비 및 투자 회복을 가로막으며 업종별 기업 체감경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와 소비를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중국의 저가 공세 속에서 전통 제조업의 수출길을 터줄 수 있는 수출시장별 틈새 전략을 민관이 함께 모색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jangstag@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