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부도로 촉발된 자금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당국과 대형 증권사가 제2 채권시장 안정펀드(채안펀드) 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2 채안펀드 규모와 실행 방안 등 구체적인 윤곽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자금시장 현황을 점검하며 정부 재원으로 한계가 있다는 판단을 하고 대형 증권사에 제2 채안펀드 조성을 요청했다.
이에 금융투자협회를 비롯한 대형 증권사 9곳은 지난달 24일과 26일 이틀에 걸쳐 긴급회의를 열고 채안펀드 조성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회의를 통해 자금 확보에 차질을 겪는 중소형 증권사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중소 증권사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를 대형 증권사가 떠안는 것은 배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는 등 부정적인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제2 채안펀드를 조성하기 위한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배임을 비롯한 여러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반발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대형 증권사의 반발에 “정부의 재원은 더 어려운 분들에 사용할 수 있고 여러분을 위해서도 쓸 수 있다”며 “당국도 한국증권금융, 한국은행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으니 증권사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걸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한 요구가 부당하다고 한다면 저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당초 제2 채안펀드는 업계에서 증권사별로 약 500억~1000억원을 출자해 전체 1조원 규모를 구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민간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기보다 당국 주도하에 펀드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에 맡겨도 될 일과 안 될 일이 있다. 가령 시장 판단에 맡기면 우량한 것들만 매입하려 하지 리스크가 큰 PF는 매입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위기 상황에서는 시장보다 당국이 주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