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 수출기업 유동성 악화 직결"
"미국 금리 인상, 수출기업 유동성 악화 직결"
  • 최지원 기자
  • 승인 2022.04.11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역협회, 기업대출 완화…선제적 대책 마련 주장
미국 정책금리와 신흥국 수입증가율 추이 비교. [자료=한국무역협회]
미국 정책금리와 신흥국 수입증가율 추이 비교. [자료=한국무역협회]

미국 금리 인상으로 한국 수출기업 유동성이 악화될 수 있어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지상 한국무역협회(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은 11일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대출 완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수출기업의 부대비용을 절감해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달러 유동성이 감소하고 신흥국 화폐 가치가 하락한다. 이에 한국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낮아지고 수출기업 유동성도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 2013년 최대 48.1%에 달했던 신흥국 수출비중은 2015년 미국 금리 인상 이후 2017년 44.5%까지 감소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2월엔 지난해 12월 대비 1.5%포인트(p) 감소했다.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 자본유출과 경기 둔화로 이어지면서 신흥국 수입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탓이다.

올해 본격적인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두고 수출기업들의 유동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과거 미국 금리 인상기(2016년 7월∼2018년 10월)에 30개월 동안 0.5%p 인상에 그쳤지만 최근 2021년 5월부터 올 2월까지 10개월 동안 0.8%p 상승했다.

홍 연구위원은 미국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달러 결제 수입비용을 증가시켜 수출채산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돌파하면서 원화 기준 원자재 수입부담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홍 연구위원은 오는 5월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이 예상된다며 금리 인상 추이를 관찰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미국 금리 인상을 계기로 엔화 약세가 가시화되고 있지만 한국 수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정부가 엔화 약세를 유도했던 기간2012년∼2016년 중 일본 수출물량 증가율은 연간 1%p 미만에 불과했다. 최근 한·일 수출경합도도 2019년 0.481에서 2020년 0.471로 하락하고 있다.

홍 연구위원은 올해 일본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엔화의 실질가치(실질실효환율)가 1990년대 절반 미만 수준으로 하락해 안전자산으로서 엔화의 위상이 크게 하락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이 엔저 지속가능성을 낙관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미국 금리 인상 수출 영향. [자료=한국무역협회]
미국 금리 인상 수출 영향. [자료=한국무역협회]

[신아일보] 최지원 기자

fro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