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로고.](/news/photo/202111/1484047_676228_1758.png)
정부는 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 최근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데이터 활용 확산으로 전 세계 데이터 산업은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유출 위험도 날로 증가하는 만큼 데이터 정보 유출과 오남용 등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데이터특별위원회 제7차 회의에서 ‘데이터 보호 핵심기술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경제의 안전한 토대 마련’을 비전으로 삼고 △데이터 보호 기술의 글로벌 수준 경쟁력 확보 △데이터 보호 기술 시장안착을 위한 지원 강화 △지속적인 데이터 보호 기술성장 기반 조성 등 3대 전략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데이터 보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통기반 기술 확보에 나선다.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속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가리는 개인정보 강화기술을 고도화한다. 또 다양한 데이터 속 민감 정보를 자동으로 가명·익명 처리하는 비식별화 기술 개발은 확대한다.
과기정통부는 공개된 데이터에서 추론을 바탕으로 민감 정보를 알아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차등 정보보호 기술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27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이와 함께 암호화된 상태로 데이터 분석‧연산할 수 있는 ‘동형암호’,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공격에도 해킹이 어려운 ‘양자내성암호’ 등 새롭게 등장한 암호원천기술 투자를 확대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가공·활용 과정과 융합서비스에서 민감 정보 유출도 방지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원본 데이터의 통계 특성은 따르면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는 재현 데이터 생성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아울러 스마트시티, 디지털헬스케어 등 융합서비스 환경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활용하는 융합산업 데이터 보안 기술 개발에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60억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보호 기술개발 결과물을 각종 시범사업과 정부 시스템에 선도적으로 적용한다.
오는 2022년부터 의료, 교통, 물류 등 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안평가 항목에 데이터 보호 핵심기술 적용 여부 등을 포함한다. 또 통계청과 협력해 정부, 공공기관에 산재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케이(K)-통계시스템’에 데이터 보호 신기술을 본격 적용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보호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 데이터 보호 혁신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보호 기술 인재양성에 특화된 정보보호특성화대학 2개교를 신규 지정을 추진한다. 구직자 대상 정보보호 교육 중 데이터 보호 기술 관련 교육과정도 확대한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민간에서 데이터 보호 기술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확대한다. 새로운 데이터 보호 기술 가이드라인을 마련·보급하고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수요기반 연구개발 과제발굴을 지속 확대한다. 이후 실증‧시범사업을 지원해 기술 개발 성과가 시장에 적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차관은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서는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며 “데이터 보호기술로 안전한 데이터 이용환경을 만들고 데이터의 경제적 가치를 보전해 데이터 신산업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