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닫힌' 가계지갑…
1분기 소비성향 역대 최저
'꽁꽁 닫힌' 가계지갑…
1분기 소비성향 역대 최저
  • 박정식 기자
  • 승인 2016.05.27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 실질소득·지출 모두 감소… 경기부진·소비심리위축 영향
불황형 흑자 현상 뚜렷…담배·주류 지출만 증가
▲ ⓒ연합뉴스

경기둔화와 노후에 대한 불안에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올해 1분기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소득에 대한 소비의 비율)은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득은 찔끔 늘었지만 소비 증가폭이 더 작아 흑자가 늘어나는 '불황형 흑자' 현상이 가계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1/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흑자액은 103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3/4분기 흑자액인 101만9800원을 넘는 역대 최고치다.

흑자액은 가구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것이다. 흑자액이 늘었다는 것은 가구가 지출할 수 있는 여력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 같은 기간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0만4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0%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266만9000원으로 0.6% 증가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경기부진과 소비심리위축이 겹치면서 가계가 지갑을 닫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출보다 수입이 더 줄어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커지는 '불황형 흑자'의 한국경제 상황이 가계동향에도 그대로 재현된 셈이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55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8% 증가했다. 그러나 실질소득 증가율은 -0.2%로 나타났다.

실질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분기(10∼12월)에 이어 2분기 연속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소득은 2011년 1분기(-0.3%)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다.

명목소득과 명목지출 증가율도 0%대에 머물렀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명목소득은 455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지만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0.9%)에 비해 떨어졌다.

그러나 저금리 여파로 이자소득이 줄면서 재산소득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1.0% 급감했다.

쓸 수 있는 돈이 적어지자 소비심리도 위축됐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6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실질 기준으로는 0.4% 감소했다.

소비지출 항목을 보면 교통(2.5%), 음식·숙박(2.2%), 가정용품·가사서비스(7.4%) 등은 증가한 반면 주거·수도·광열(-3.6%), 의류신발(-1.8%), 식료품(-0.6%) 등은 감소했다.

식료품 소비가 감소한 가운데 맥주와 소주 등 주류 지출은 가격 인상의 영향으로 8.3%의 높은 증가를 보였다. 담배지출도 30.6%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32만4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줄었다.

그러나 유가 하락으로 도시가스 요금이 인하한 탓에 연료비가 12.2% 감소했을 뿐 실제주거비는 오히려 10.3% 증가해 가계 부담이 커졌다.

음식숙박 지출은 33만3000원으로 2.2%,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0만2000원으로 7.4% 늘어났고, 오락·문화에 대한 지출(15만6000원)은 1.3%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34만9000원으로 0.6% 감소했다. 육류 지출(3.8%)이 증가했지만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곡물(-12.4%), 유제품 및 알(-7.1%)에 대한 지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의류·신발 지출도 15만2000원으로 1.8% 줄었고, 교육 지출(34만2000원)은 0.4%, 보건 지출(17만8000원)과 통신 지출(14만6000원)은 나란히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조세(5.1%), 연금(3.4%), 사회보험(3.5%) 등의 지출은 늘었고 비경상조세(-6.0%), 이자비용(-0.4%), 가구간이전지출(-3.3%), 비영리단체로 이전(-2.8%) 등은 줄었다.

소득이 줄어 씀씀이는 물론 경조사나 기부금마저 줄였지만 정부와 공공기관이 거둬가는 조세나 사회보험료 지출은 '어쩔 수 없이' 줄이지 못한 셈이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처분가능소득이 증대됐지만 경기 및 소비심리 부진 등의 영향으로 소비지출이 전반적으로 둔화했다"면서 "임시공휴일 지정,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완만한 유가 상승 등으로 가계 지출 증가세는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신아일보] 박정식 기자 jspark@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