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6개 중앙행정기관과 조세심판원 등 6개 소속기관이 세종시로 옮긴다.
내년에는 6개 중앙행정기관과 12개 소속기관, 2014년에는 4개 중앙행정기관과 2개 소속기관이 차례로 이전한다.
금년에만 공무원과 산하공공기관 직원 1만여명이 이전되는 세종시 청사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문제는 이들 공직자들이 거주할 주택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주택 마련이 어려워 전세 집을 구하려 해도 세종시와 인근에는 전세주택이 턱없이 부족, 세종시 교외까지 나와도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세값도 천정부지로 올라 공직자들을 울리고 있다는 것이다.
예상했던 주택난이 현실화 된 것이다.
이를 예견했을 관계당국이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국무총리실 1그룹 140명을 시작으로 세종시로의 중앙 정부부처 이전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현지에선 이미 전셋집 구하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첫마을'을 비롯해 인근 대전 노은지구, 충북 연기군 조치원, 청원군 오송지구 등 주변지역도 전세가 없다.
이처럼 전세 구하기가 어렵다보니 KTX(고속철도)를 타고 출퇴근하려는 공무원들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KTX 이용이 비교적 쉬운 서울역, 광명역, 오송역 인근 아파트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광명역을 이용하면 세종시 인근 오송역까지 30분대에 닿을 수 있고 오송역부터는 셔틀버스가 운행되기 때문이다.
세종시는 지난 10년간 끊임없이 난관에 부닥쳐 왔다.
헌재가 행정수도 건설을 두고 위헌 결정을 내리는 바람에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방향을 틀었지만 이명박 정부가 ‘교육·과학·기업 중심도시'로 그 성격을 다시 바꾸려 해 격렬한 논쟁이 벌어져 국론이 분열되기도 했다.
우여 곡절 끝에 건설하다보니 주택 등 기본 도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리라는 것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정부 과업인 이상 이전 공무원들이 거주할 주택만은 마련되었어야 옳다.
병원 학교 우체국 마트 등 시민 편의 시설도 마찬가지이다.
일반 주민도 아닌 공직자들의 생활이 안정되어야 국민 서비스도 안정된다는 것을 전제한다면 공직자들의 생활불안정에서 오는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 돌아가는 것이다.
늦었지만 대책을 세우기 마란다.
저작권자 © 신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