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2개월 만에 금리 방향이 바뀌면서 저축은행업권에 실적 개선에 대한 희망이 생겼다.
기준금리 인하로 향후 예금금리가 내려가면 실적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도 저축은행은 낙관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그간 저축은행은 부실채권 정리 등을 통해 실적 개선을 꾀하고 있지만 업권 전체가 부진에서 벗어나는 데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앞서 저축은행업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시작된 업황 악화 여파로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실제 올 상반기 기준 79개 저축은행 순손실은 3804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3분기에도 대다수 저축은행은 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손실 규모는 다소 축소될 전망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3분기 실적은 적자 폭이 다소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저축은행업권이 이렇게까지 힘들어질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토로했다.
특히 상반기 대규모 적자에 따른 건전성 악화 여파로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저축은행 30곳 가운데 절반이 넘는 16곳의 등급은 대거 조정되기도 했다.
금융당국 경영실태평가에 따른 적기시정조치 등이 예고된 만큼 험로마저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저축은행 3곳의 자산건전성 지표에 대해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했다.
이번 경영실태평가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것으로 평가 결과 이들 저축은행에 대해 취약등급을 받았다.
취약등급은 적기시정조치 권고 등급 대상이 되며 △인력 및 조직운영 개선 △경비 절감 △신규업무영역 진출 제한 △부실자산 처분 △자본금 증액 등 조치에 나서야 한다.
아울러 기준금리가 인하됐더라도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더디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업황회복 속도는 업권의 기대보다 빠르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는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기 때문에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또한 저축은행은 은행을 뒤따라 예금금리를 내리기 때문에 당장 기준금리가 내려가더라도 2금융권의 예금금리가 낮아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현재 저축은행업권은 중·저신용자와 자영업자 등 서민 자금줄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들어서는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할 정도로 버티기에 돌입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엇갈린 정책 신호로 시장에 혼란을 초래하기보다 국가 경제적 차원의 정책을 통해 실물경제를 안착시켜 저축은행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