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취업·학업 등이 원인…고용률·경제성장률 등도 연관
최근 10년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긴 비수도권 20대 청년이 6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취업과 학업 등이 원인이었으며, 고용률과 경제성장률 등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13∼2022년 서울 등 수도권의 20대 순이동 인구는 59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순이동 인구는 지역의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수치를 말한다. 즉, 지난 10년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인구가 59만명을 넘는다는 것이다.
같은 기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전체 인구는 27만9000명이었다. 2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이다.
지난 10년간 서울로 순유입된 20대 인구는 34만1000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유입 인구는 10년 전인 2013년 2만1000명에서 2019년 4만8000명까지 늘었다가 2021년 3만6000명으로 감소했는데 지난해에는 5만4000명으로 더욱 증가했다.
또한 10년간 인천으로 순유입된 20대는 1만5000명, 경기는 23만5000명이었다.
10년간 비수도권 지역의 순유출된 20대 인구수를 보면 경남이 10만5000명을 기록해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고, 경북(-9만명), 전남(-7만6000명), 전북(-7만6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대구(-6만6000명), 부산(-5만5000명), 광주(-3만4000명) 등 광역시에서도 20대 인구가 순유출을 기록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 중 세종(3만4000명)만이 유일하게 순유입을 기록했다.
이처럼 20대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주된 배경에는 취업·학업 등이 꼽힌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지역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라는 보고서에서 청년층의 지역 이동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요인인 고용률·경제성장률 등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2015년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임금·고용률·성장률 격차가 커지면서 청년의 비수도권 유출도 심화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문화 및 의료서비스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커진 점도 수도권 집중의 요인으로 분석됐고, 대학 진학 등도 20대 이동의 배경으로 언급됐다.
올해도 수도권으로의 20대 순유입은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는 4만7000명이었다. 서울은 4만명, 경기 5000명, 인천 2000명이 각각 순유입됐다.
비수도권에서는 대전(2000명)과 세종(200명)이 순유입을 기록했다.
반면 경남(-1만2000명), 경북(-7000명), 대구(-6000명), 전남(-5000명) 등은 순유출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