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신차 배정계획은 제시할 듯
산은은 지분정리 등 매각에만 관심
지난 13일 제네럴모터스(GM)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를 결정한 이후 여론이 뜨겁지만 이해관계자들이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며 해결책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GM측에서 먼저 확실한 경영계획을 제시해야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백운규 장관은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몇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한데 장기적 경영 개선에 대한 GM의 커미트먼트(투자 의지) 그런 것들을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을 전제로 GM에 경영 계획을 요청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백 장관은 “GM이 들고올 패키지를 일단 봐야 한다”며 “GM이 어떤 카드를 갖고 올지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도 20일 중견기업 소통 간담회에서 “한국GM 경영정상화 계획 받아보고 입장 정리할 것”이라며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
우리나라 정부의 이런 입장에 GM은 확실한 답을 하지 않고 있지만 적어도 한국GM 신차 배정 계획은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배리 앵글 GM 총괄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20일 국회를 방문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신차 두 종류를 부평, 창원 공장에 투자(배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앵글 사장은 “한국GM의 생산량이 연간 50만대를 밑도는데, 앞으로 50만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배정될 가능성이 있는 신차로는 쉐보레 트래버스, 뷰익 인클레이브 등 단가가 높아 이윤도 많은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CUV)가 유력하다. 또 2015년부터 한국GM이 개발을 총괄해온 트랙스의 후속모델인 차세대 소형 SUV가 2020년 양산을 앞두고 한국에 배정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 차세대 소형 SUV가 새로 배정될 CUV와 같은 모델인지 다른 모델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GM 창원공장의 경우 스파크 후속 모델 생산을 원하고 있어 이 또한 고려 대상일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날 앵글 사장은 신차 배정이 정부 지원을 전제로 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호주나 인도에서 공장을 폐쇄한 이력을 감안했을 때 우리나라 정부 반응에 따라 얼마든지 태도를 돌변할 수 있다. 정부와 GM의 밀당이 어떻게 진행될지 아직은 감을 잡을 수 없다.
한국GM의 2대 주주로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산업은행은 그동안 한국GM 지분 매각에 중점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산업은행이 작성한 ‘한국지엠(주) 사후관리 현황’ 보고서는 “해외시장 철수 단계적 실행, 자체생산 축소, 수입판매 증가, 기타 구조조정 움직임 등 철수 징후”가 있다며 “GM의 최근 수년간 해외 철수 흐름으로 볼 때 글로벌 사업재편 전략이 ‘선택과 집중’으로 선회”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봤다.
이런 분석을 했다면 한국GM의 철수 가능성도 미리 진단했어야 했다. 하지만 같은 보고서에는 “GM 지분 매각제한이 해제되는 2017년 10월 이후 본행도 출구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제반 매각여건 등을 감안해 매각 방향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돼있다. 한국GM 철수 여부 보다는 가지고 있는 지분 정리에 더 관심이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GM노조도 자신들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노조는 20일 국회에서 ‘한국GM 사태 해결을 위한 노조 요구서한’을 통해 ‘3+6 요구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정부에 △GM의 자본투자·시설투자에 대한 확약을 받아줄 것 △한국GM 특별 세무조사 실시 및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경영실태 공동조사 △그동안 산업은행과 글로벌 GM이 맺은 협의서 공개 등을 요구했다.
사측에 요구한 6가지 요구로는 △군산공장 폐쇄 즉각 철회 △외국인임직원(ISP) 및 상무급 이상 임원 대폭 축소 △3조원의 차입금을 자본금으로 출자전환 △신차투입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 확약 △내수시장 및 수출물량 확대방안 제시 △미래형자동차 국내 개발 및 한국GM 생산 확약 등을 제시했다.
임한택 금속노조 한국GM 지부장은 이날 “신차물량, 수출물량에 관한 구체적이고 연차적 계획을 내놓으면 노조는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은 양보할 준비가 돼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