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신고 없는 곳도 ‘화들짝’…‘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까지 출범
최근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하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불안감이 커지자 지방자치단체들에 한꺼번에 비상이 걸렸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도 빈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까지 출범시키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8일 정부 합동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6일까지 전국 17개 시도 등에 접수된 빈대 의심 신고 건수는 30여 건이다.
지난달 13일 인천 서구 모 찜질방 매트 아래쪽에서 살아있는 빈대 성충과 유충이 발견돼 이 찜질방 운영이 잠정 중단됐고, 같은 달 19일에는 대구의 한 사립대학교 기숙사에서도 학생이 빈대에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대학 측이 긴급 소독에 나섰다.
이 밖에도 서울 중구 남대문 쪽방촌 일대의 한 고시원, 경기도 부천 소재 고시원 등 숙박시설과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빈대 출현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빈대는 주로 야간에 따뜻한 곳을 찾아다니며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해충이다. 전염병을 옮기지는 않지만, 물릴 경우 심한 가려움증이나 피부 감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1960년대 새마을 운동과 1970년대 DDT 살충제 도입 등으로 빈대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2014년부터 약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최근 수십건의 빈대 신고가 들어왔는데, 명확한 발생원인 등을 모르기 때문에 빈대 공포가 더욱 퍼지고 있다.
전국 지자체는 빈대 출현 가능성이 높은 업소에 대해 합동점검을 하거나 소독작업을 진행하는 등 해충 퇴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구시는 이 지역 대학 기숙사에서 빈대가 출현함에 따라 지역 9개 구·군 보건소 등과 대책 회의를 갖고 합동대책반을 구성해 운영키로 했다.
인천시도 종합대책본부를 구성했으며 빈대 출현 가능성이 높은 숙박시설과 목욕탕 등 757개 업소에 대해 다음 달 8일까지 합동점검을 마칠 계획이다. 또 위생 취약 시설인 쪽방촌 210여가구와 고시원 800여곳에 대해서도 빈대가 나타날 경우 신속히 출동해 긴급 방제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직까지 빈대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지자체들도 이러한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기는 마찬가지다.
군산시는 오는 10일까지 숙박업소와 목욕시설 등 112곳을 특별 점검키로 했고, 강원도는 특별조정교부금 1억원을 긴급 편성해 취약계층 시설과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등을 대상으로 방역 소독을 지원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관내 소독의무시설에 빈대 정보집을 배포하고 빈대 예방·관리 방법을 안내하는 등 홍보활동을 하고 있으며, 충남도도 다중이용시설 위생 점검을 하는 한편 빈대 관련 콜센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달 3일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환경부, 국방부, 교육부 등 10개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빈대 합동 대책본부를 꾸린 정부는 지자체에서 접수된 빈대 의심 신고 건수, 대처 상황 등을 취합해 현장 대응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빈대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되도록 피하라고 권고했다. 특히 빈대 신고가 잦은 숙박업소 등은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