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협상테이블 앉고 싶다면 선거 치러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고 사실상 계엄령이 선포된 상태"라며 "말하기 싫지만 우크라이나 지도자(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 나라도 산산조각이 났다"고 주장했다.
또한 우크라이나가 협상테이블에서 배제된 점에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 "이 자리(협상테이블)에 앉고 싶다면 먼저 오랫동안 선거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러시아가 평화 협정 체결을 위해 우크라이나의 대선을 원한다는 얘기에 대해선 "이는 러시아만 제기한 것이 아니라 나와 다른 나라들도 하는 얘기"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놓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러 장관급 회담이 끝난 직후 나왔다.
우크라이나 언론에선 반박에 나섰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젤렌스키의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는 트럼프의 주장에 아무런 근거가 없다면서 키이우국제사회학연구소의 최신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이 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국민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젤렌스키에 대한 국정 지지율은 52%로 나타났다. 트럼프가 주장한 4%와는 큰 차이가 있다.
젤렌스키는 지난 2019년 대선에서 당선되며 5년의 임기를 시작했으나 전쟁 발발과 함께 계엄령이 선포돼 우크라이나는 현재 전시 내각 체제로 국가가 운영되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이었다면 지난해 3월 대선을 치러야 했지만 전시 체제에 따른 선거 중단으로 임기가 연장됐다.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젤렌스키가 대선을 취소함으로써 국가 권력을 찬탈했다"는 주장을 펼쳐오고 있다. 향후 양국이 종전협정 등 합의문에 서명할 일이 있을 때 상대가 적법한 대통령이어야 하는데 젤렌스키는 아니라는 것이 러시아의 입장이다.
선거를 통해 지지율이 낮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교체해야 한다는 취지의 트럼프 발언은 이러한 러시아 측의 주장과도 일맥상통한다.
러시아는 그동안 젤렌스키를 축출한 뒤 우크라이나에 친러·친푸틴 정권을 수립하는 방안을 암암리에 모색해왔다. 뿐만 아니라 전쟁 발발 후 젤렌스키의 암살도 여러 차례 기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아일보] 노진규 기자
jk.roh@shinailbo.co.kr
저작권자 © 신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