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응 지휘하는 컨트롤타워 이관 필요"
진화 전문 인력 부족…산불 진화대는 '고령화'
초대형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한 이번 경북 산불을 계기로 산불 대응 체계의 전면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확산한 산불은 지난 28일 대부분 진화가 완료됐다.
이번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29일 기준 사망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 등 총 75명으로 집계됐다. 산불영향구역은 4만8238.61㏊로 여의도 면적 166배에 달하는 규모다. 인명, 산림, 시설 피해 모두 역대 최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을 계기로 전면적인 산불 대응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산불 대응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에 대한 문제가 첫 손에 꼽힌다.
현재 산불 예방·진화 등 대응은 주무 관청인 산림청이 맡고 있다. 산림청이 산불 대응 전반을 지휘하고, 소방청이 이를 지원한다.
하지만 산림청이 산불 지휘를 맡을 만한 능력이 있는가에 대해선 의문 부호가 따라 붙는다. 소방청과 비교했을 때 불에 대한 이해가 한참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는 소방청으로 역할을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004년 소방청의 전신인 소방방재청이 신설될 당시부터 산불 업무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있어왔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잠깐 거론되다 무산됐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산불 대응 체계로는 대응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 기후 변화 영향으로 갈수록 산불이 대형화되는 만큼 이에 맞는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갖춰야한다고 입을 모은다.
진화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산림청 소속인 산불 진화대 1만여명 중 대부분은 65세 이상 고령층이다. 이들이 높은 고지까지 올라가 산불을 진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번 경남 산청 산불 진화에 투입됐다가 숨진 진화대원 3명도 모두 60대였다.
산불 진화대원 대부분은 지자체가 '공공 일자리' 사업 일환으로 모집한 기간제·일용직 근로자다. 이 때문에 초기 대응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불의 규모와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소방 대원들의 필요성도 더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대형 헬기 등 장비 부족 문제도 지적한다. 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전체 헬기 50대 중 산불 진화에 효과적인 담수 용량 8000ℓ 이상 대형 헬기는 7대뿐이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급변하는 기후에 따른 대형 산불에 대비해 정부의 대응 체계가 충분히 갖춰져 있는지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모든 유관 기관은 재발방지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달라"고 밝혔다.
[신아일보] 노진규 기자
jk.roh@shinailbo.co.kr
저작권자 © 신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