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美 관세 대응 중기부-관세청 공동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중기부]](/news/photo/202504/2031528_1141819_1443.jpg)
중소벤처기업부와 관세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5% 관세 폭탄에 긴급대응에 나섰다.
중기부는 3일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과 함께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과 이명구 관세청 차장 등이 직접 참석했고 미국 관세 부과로 피해가 예상되는 수출 중소기업 6개사 대표가 함께 했다.
오 장관은 글로벌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지원책으로 '수출 바로(barrier zero)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290억원 규모로 중기부 수출바우처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며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가 두터워지는 추세에 맞춰 대체시장 발굴과 공급망 확보, 관세 분쟁 해결 등 수출 중소기업의 관세 대응에 특화했다. 신청 후 1개월 내 지원이 이뤄지는 패스트트랙 방식이 적용된다.
현장에서는 이미 수출 차질이 현실화된 사례가 공유됐다. 경기도에 위치한 중소기업 A사는 산업용 펌프를 매년 70만달러 규모로 수출하고 있었으나 이번 분기 수주를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 충남의 반도체 장비업체 B사는 국내 대기업의 멕시코 법인에 납품할 장비가 있었으나 납품 일정이 무기한 연기됐다. 두 사례 모두 3월18일 단행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벌어진 일이다.
중기부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실시한 긴급 설문조사에서도 응답기업 42.8%가 '관세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조사는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 2,942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응답 기업은 600개사다.
중기부는 관세청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국 15개 지방중기청과 본부세관 간 핫라인을 연결해 실시간으로 품목분류, 원산지 증명 등 관세 실무정보를 제공하고 세관에 배치된 공익관세사와 수출 중소기업 간 1대1 컨설팅을 연계할 계획이다. 관세청 추천 우수기업은 중기부 수출지원사업에도 우선 선발된다.
이명구 관세청 차장은 “관세정보 부족으로 인한 수출 차질을 줄이기 위해 중기부와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오 장관은 "오늘 발표한 관세 대응 긴급 지원사업인 ‘수출 바로 프로그램’이 수출 현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내실을 다져 신속하게 운영하겠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및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정부부처와의 협력도 꾸준히 발굴해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