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프트업 김형태, 주식재산 1조클럽 합류…100억 이상 124명
시프트업 김형태, 주식재산 1조클럽 합류…100억 이상 124명
  • 장민제 기자
  • 승인 2025.02.11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신규 상장사 149곳 대상 주식재산 100억 이상 주주조사
2024년 신규상장사 중 주식평가액 1000억 이상 신흥 주식부호.[이미지=CXO연구소]
2024년 신규상장사 중 주식평가액 1000억 이상 신흥 주식부호.[이미지=CXO연구소]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가 지난해 신규 상장사 개인주주 중 가장 많은 주식평가액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2024년 신규 상장한 상장사 대상 주식평가액 100억 넘는 주식부자 현황 조사’ 결과 이달 7일 종가기준 주식평가액 100억원 이상 주식부자는 124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대상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 사이 코스피와 코스닥 등에 신규 상장한 149개 상장사의 개인주주이다. 주식평가액은 신규 상장한 단일종목 1곳에 대해서만 계산이 이뤄졌다. 

주식재산이 1조원 넘는 주식갑부에는 게임업체인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이사가 이름을 올렸다. 김 대표이사는 시프트업 종목의 주식을 2266만 1370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김 대표이사의 주식은 1조3755억원으로 평가됐다. 다만 지난해 7월11일 상장 첫날 주식평가액(1조6089억원) 대비 14.5% 하락했다.

흥미로운 건 김형태 대표이사는 과거 엔씨소프트 아트디렉터(AD)로도 재직한 바 있었다. 이달 7일 기준 엔씨소프트 최대주주인 김택진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4507억원 수준이다. 과거 월급쟁이였던 김형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재직 당시 오너인 김택진 대표이사보다 배 이상 많아져 눈길을 끌었다.

김형태 대표이사를 포함해 시프트업에서만 이달 7일 기준 주식가치가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는 모두 6명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민경립(36세) 589억원 △이형복(48세) 330억원 △조인상(44세) 182억원 △채지윤(41세) 163억원 △이동기(43세) 105억원 순으로 높았다.

주식재산 1000억 클럽은 8명이다. 여기에는 △박동석 산일전기(7566억원) △김병훈 에이피알(5917억원) △강은숙 산일전기(4027억원) △백종원 더본코리아(2629억원) △이성호 씨메스(1256억원) △공경철 엔젤로보틱스(1061억원) △박영근 탑런토탈솔루션(1046억원)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1000억원) 대표이사가 이름을 올렸다.

이달 7일 기준 주식재산이 800억~900억원대를 보이며 1000억원에 초근접한 주주도 5명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황희종 삼현(988억원) △남명용 루미르(917억원) △문승호 에이치브이엠(882억원) △김재학 하이젠알앤엠(839억원) △최영섭 차이커뮤니케이션(820억원) 대표이사가 속했다.

지난해 신규 상장으로 주식부자 100억 클럽에 가입한 124명을 출생년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생이 36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1960년대생 34명 △1980년대생 24명 △1950년대생 14명 △1950년 이전 출생자 6명으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 태어난 MZ세대 중에서도 올해 기준 30대인 젊은 주식부자도 6명이나 탄생했다. 이들 중에는 5900억원이 넘는 주식재산을 보유한 김병훈(37세)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가치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1000억원에 육박한 황희종(36세) 삼현 최대주주를 비롯해 △황승종(39세) 삼현(637억원) △민경립(36세) 시프트업(589억원) △정지성(39세) 에스오에스랩(523억원) △김영준(36세) 노머스(494억원) 대표이사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최근 게임과 IT 업종 등을 중심으로 상장을 통해 부의 엘리베이터를 타는 신흥 젊은 부자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라며 “상장한 회사의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시키려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젊은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jangstag@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