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와 소비 부진 쓰나미로 '빚더미'에 앉은 자영업자 연체율이 11년 내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문제는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열의 여섯이 이미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더 이상 돌려막기조차 힘든 다중채무자라는 점이다. 이들은 평균 빚은 4억3000만원에 달했다.
31일 한국은행(한은)이 국회 기획재정위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과 행정안전위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대출 세부 업권별 연체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말 저축은행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 기준)은 11.70%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11.00%)보다 0.70%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2015년 2분기(11.87%) 이후 9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1년 전인 2023년 4분기(7.63%)와 비교해도 4.07%p나 높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금융사(카드사·캐피탈 등) 연체율은 3.67%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2.94%)보다 0.73%p, 전년 동기(2.31%)보다 1.36%p 상승해 2014년 2분기(3.69%) 이래 10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보험사 연체율(1.46%) 역시 석 달 새 0.18%p 올라 2019년 2분기(1.48%) 이후 5년 6개월 내 최고점을 찍었다.
다만 2금융권 전체 연체율의 경우 지난해 3분기말 4.74%에서 4분기말 4.69%로 0.05%p 소폭 하락했다. 해당 기간 상호금융 연체율이 4.37%에서 4.19%로 떨어진 영향이다.
은행권 연체율(0.60%)도 0.01%p 낮아졌지만 3분기(0.61%)에 이어 두 분기 연속 0.60%대를 유지했다. 0.60%대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은 한은 시계열 상 10년 이상 거슬러 2014년 3분기(0.65%)와 비슷한 수준이다.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10면 중 6명은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였다.
실제 지난해 4분기말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다중채무자(176만1000명)는 56.5%를 차지했다.
대출액 기준으로는 전체 자영업자 대출액의 70.4%에 해당하는 749조6000억원이 다중채무자 빚이었다.
자영업 다중채무자는 1인당 평균 4억3000만원의 대출을 안고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앞서 3분기와 같고 2021년 4분기(4억3000만원)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