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해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3회에서 1회로 대폭 축소하며 한국은행(한은) 금리인하 시기도 밀려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행진이 올해도 계속되면서 우리 경제 부담도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재 5.25~5.50%인 기준금리 유지를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7회 연속 동결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지속적 완화 추세에 대한 확신이 들기 전까지는 금리인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준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을 전망하는 점도표를 통해 올해 말 금리 전망치 중간값을 현재 수준보다 0.15%~0.40%p 낮은 5.10%로 제시했다.
앞서 3월 회의에서는 연말 금리를 4.60%로 전망해 세 차례(0.25%p씩) 금리 인하가 예상됐는데, 한두 차례로 축소된 셈이다.
이에 10개 주요 투자은행(IB)은 금리인하 시기를 △9월 6개사 △12월 3개사 △11월 1개사 등으로 9월을 우세하게 전망했다.
파월 의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인플레이션만이 아니라 노동시장과 리스크 간 균형, 성장률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인플레이션이 2%로 지속 가능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적절한 수준의 확신이 드는지, 노동시장 예상치 못한 약화 징후가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7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연내 1회 금리인하를 시사하며 한은의 금리인하 신중론은 지지를 받고 있다.
한은은 미국과 역대 최대(2.0%p)로 벌어진 금리차에 아직 물가 목표치(2.0%)를 웃돌고 있는 물가상승률로 현재의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전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창립 74주년 기념식에서 "물가가 제대로 안정되지 않으면 실질소득 감소, 높은 생활물가 등으로 취약계층 어려움은 가중될 것이고 또한 섣부른 완화 기조로의 선회 이후 인플레이션이 재차 불안해져 다시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그때 감수해야 할 정책 비용은 훨씬 더 클 것"이라며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현재의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하반기 한국 경제는 고금리 상황에도 역대 최고로 불어난 가계부채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5월 가계대출은 주택 거래 증가 영향으로 한 달 만에 6조원이나 커졌다. 이는 지난해 10월(6조7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으로, 5월 기준 가계부채 규모는 1109조6000억원에 달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두 나라 모두 아직 물가가 높다"며 "미국이 연내 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30% 정도로 본다. 이에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내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