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우위 보유 기업 시장진출 방안 등 추진 계획
"이제는 혁신제품 양적성장에 더해 질적성장을 위해 제도 운용 과정 미비점을 개선하고 기술 차별화를 통해 혁신제품 위상을 한 단계 더 높여야 할 때입니다."
3일 김윤상 기재부 제2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조달정책심의위원회'를 주재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혁신제품 공공구매 성과제고 방안 △2024년 혁신제품 지정계획·구매목표 △혁신제품 지정 취소·연장에 대해 논의됐다.
김 차관은 "2020년 혁신제품 지정제도 도입 이후 1900여개 혁신제품을 발굴과 지정하고 2조8000억원 수준의 공공구매를 통해 혁신기업 조달시장 진입과 초기 판로를 지원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제품 공공구매제도가 혁신제품 조달시장 문턱을 낮추고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해 주는 중요 정책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며 모든 관계기관이 혁신제품 제도를 적극 실천하고 새로운 혁신기업 제품 발굴에도 더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 혁신제품 지정요건 중 기술적 차별성을 평가하는 '신규성'에 대한 배점을 기존 10점대에서 20점 이상으로 확대해 기술적 우위를 가진 기업 시장진출을 촉진할 계획이다.
또 국민 일상생활과 지역사회 필요에 적극 부응할 수 있도록 현장 수요에 기반한 생활밀착형·지역문제 해결형 제품 지정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격·품질이 검증된 유망 혁신제품 단가계약을 확대 적용해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등재를 통한 구매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해외실증 확대와 해외진출 혁신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해외실증은 현지 기업의 내외부 시스템을 테스트베드 삼아 아직 상용화 전인 신기술·혁신 솔루션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2024년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 혁신제품 전체 구매목표액을 전년 목표액 대비 891억원(13.1%) 증가한 7698억원으로 정해 공공부문이 혁신제품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