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이른바 '정치인 체포조'에 가담한 의혹을 받는 경찰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과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소환해 조사에 나섰다.
계엄 당시 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검찰은 국수본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등을 체포하기 위해 합동 체포조를 편성한다는 설명을 듣고도 국군방첩사령부에 명단을 전달하는 등 '정치인 체포조'에 가담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을 뿐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윤석열 대통령 공소장을 통해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께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줄 수 있느냐'고 요청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외에도 국회 봉쇄 의혹 수사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금지한 경위 등을 조사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해 12월 국수본 관계자들에 대한 첫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어 지난달 31일에도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