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 실손보험·자동차보험 누수 잠금 필요
2025년 새해를 맞은 보험업계의 앞날이 다소 흐릴 전망이다. 국내 정치 불안과 트럼프 2기, 보험 산업 시장포화 등이 이유로 꼽힌다.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2일 신년사에서 보험업계는 불안정한 대내외 정세와 이에 따른 경기 하방리스크 확대로 경제적·사회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양 협회는 신년 공통 과제로 △건전성 관리 △신 회계제도(IFRS17) 제도 안착 △불완전 판매 방지를 통한 소비자 신뢰 제고 등을 제시했다.
업권별로 보면 생명보험업계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실버산업과 노후 대비 연금 상품, 헬스케어 등 미래 먹거리 개발이 주요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몇 년간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로 국내 생명보험업계는 저성장 늪에 빠진 상태다.
이에 생명보험사는 신사업 진출을 통해 수익 다각화를 노리고 있다. KB라이프생명과 신한라이프는 자회사를 통한 요양시설을 설립하며 요양 산업 선두 주자로 떠올랐다.
교보생명과 삼성생명은 각각 자회사 교보다솜케어와 애플리케이션(앱) 더헬스를 운영하며 헬스케어 산업에 출사표를 던졌다. 한화생명은 헬스케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신사업 진출 흐름은 올해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은 "생명보험 산업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보험상품을 넘어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라는 막중한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며 "실버시장과 헬스케어, 디지털 혁신을 중심으로 생명보험업계 신성장동력 마련에 지속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손해보험업계는 보험금 누수의 주원인으로 꼽히는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구조적 문제 해결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비급여 과잉 진료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손보험은 손해율 급등으로 적자가 심각해지면서 결국 올해 평균 7.5% 보험료가 인상됐다.
이에 보험개혁회의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료개혁특위)와 함께 실손보험 개혁을 진행 중이며 이달 초 공청회를 거쳐 구체적인 개혁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다만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의료계가 의료개혁특위에서 대거 이탈하면서 반쪽짜리 개혁이라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자동차보험도 손해보험업계의 골칫거리다.
지난해 1~11월 누적 기준 대형 손해보험사 4곳(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의 자동차보험 평균 손해율은 82.5%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79.3%)보다 3.2%포인트(p) 치솟은 규모다.
특히 가벼운 교통사고로 입원한 경상 환자 치료비는 한방병원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대형 손해보험사의 경상 환자 치료비는 약 95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금융당국과 국토교통부는 경상 환자의 보험금 누수와 관련해 과도한 향후 치료비(합의금) 문제 등 제도 개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은 "실손보험 상품을 합리적으로 개편해 나가는 한편 자동차보험의 불필요한 보험금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경상 환자 제도개선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해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내년 보험업계는 성장성과 수익성, 건전성에서 모두 도전 과제를 안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고객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특히 건강보험 수요 확대에 발맞춘 혁신적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를 통해 요양 등 신사업 분야에서 보험사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