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밸런싱 효과…미주 매출, 중화권 추월
![](/news/photo/202502/2001724_1116098_5743.jpg)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2493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4.0% 증가했다고 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2599억원으로 5.9%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해외사업에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추진의 결과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미주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2분기부터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에 편입된 코스알엑스도 EMEA(유럽·중동·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가 지속되며 해외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아모레퍼시픽의 해외사업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뤄내며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조678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그룹 역사상 처음으로 미주지역이 중화권을 넘어 가장 큰 매출을 올리는 해외시장으로 등극했다.
우선 미주지역에서는 립 트리트먼트 부문 1위를 수성한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의 고성장과 함께 코스알엑스 편입효과로 매출이 83% 증가했다.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등 주력 브랜드가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 사이버 먼데이(BFCM)' 행사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EMEA 지역에서도 영국의 ‘Boots’와 ‘ASOS’에 입점하며 채널을 다변화한 라네즈가 세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또한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가 더해지며 전체 매출이 3배 확대됐다.
아모레퍼시픽은 건강한 매출 성장과 수익성 확보를 위해 ‘브랜드 경쟁력 강화’, ‘글로벌 리밸런싱 가속화’, ‘채널 대응력 강화’, ‘미래 성장 준비’라는 전략방향을 설정해 추진 중이다.
아모레퍼시픽은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라네즈와 코스알엑스 등 글로벌 선도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성 확보에 집중하면서 에스트라와 헤라 등 차세대 글로벌 브랜드 육성에도 매진하고 있다.
동시에 설화수, 이니스프리, 려와 같은 기존 대형 브랜드의 리브랜딩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리밸런싱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주요 전략시장인 미국, 일본, 유럽, 인도, 중동을 집중적으로 육성함과 동시에 중국시장의 구조적 정상화도 진행하고 있다.
채널 대응력 강화 측면에서는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대응역량 내재화를 꾀하고 있으며 국내외 주요 멀티 브랜드 유통채널 및 틱톡샵 등 신규 성장채널과의 다각적인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 AI(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객 서비스 혁신 및 업무 생산성 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의 기반도 준비하고 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중에서는 라네즈, 헤라, 에스트라,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이 선전했다. MBS(멀티브랜드매장)와 온라인 채널에서의 판매 호조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주요 자회사의 경우 이니스프리와 에뛰드의 매출이 감소했지만 에스쁘아 및 아모스프로페셔널, 오설록은 경쟁력을 강화하며 매출이 성장했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사업은 주요 브랜드들의 대표 제품 리뉴얼 및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를 통해 MBS와 온라인 채널에서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하지만 면세 매출의 하락이 지속되며 전년 대비 2.4% 감소한 2조157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국내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되며 영업이익은 1.3% 증가했다.
럭셔리 브랜드 부문에서는 설화수 ‘자음생’ 라인의 리뉴얼 출시와 함께 이커머스 협업 옴니채널 마케팅, 팝업스토어 운영, 백화점 피부 진단 서비스 등을 전개하며 자음생 매출 비중이 확대되는 성과를 거뒀다. 헤라는 리뉴얼 출시된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이 국내 럭셔리 메이크업 부문 매출 1위를 달성했다. 아이오페도 레티놀 전문성 강화 및 ‘슈퍼바이탈 6세대’ 리뉴얼 출시 등을 통해 연간 매출이 성장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부문에서는 라네즈가 ‘워터뱅크 크림’ 리뉴얼 및 ‘바운시 앤 펌’ 라인 신제품 출시, BTS 진과 협업한 ‘크림 스킨’ 캠페인 전개로 브랜드 경쟁력을 더욱 강화했다. 에스트라는 ‘리제덤365’ 라인 등을 통해 슬로에이징 트렌드를 선도하며 올리브영 더마 카테고리 매출 1위를 수성했다. 마몽드의 세컨드 브랜드인 ‘미모 바이 마몽드’가 다이소 입점 4개월 만에 누적 판매 100만개를 돌파했다.
데일리 뷰티 브랜드 부문의 경우 일리윤이 올리브영 바디 케어 부문 1위, 라보에이치가 올리브영 샴푸 부문 1위를 차지하는 등 MBS 채널을 중심으로 핵심 제품이 높은 성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