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형 저축은행들이 개인 신용대출에 집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43조4646억원으로 전년 말(35조5838억원) 대비 22.15%(7조8808억원) 늘었다.
이 중 기업대출은 24조5825억원으로 전년 말(21조3641억원) 대비 15.06%(3조2184억원) 늘었고, 가계대출은 18조2849억원으로 33.53%(4조5913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기업대출도 많이 늘었지만, 가계대출이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저축은행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38.37%에서 42.07%로 3.59%포인트 올라갔다.
저축은행 전체 대출에서 가계대출 비중이 42%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저축은행은 전통적으로 가계대출보다는 지역의 중소기업이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주력했다.
이 때문에 전체 저축은행 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만 해도 11%대에 불과했다.
하지만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들이 규모는 작지만, 위험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는 가계대출에 집중하면서 가계대출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대부업체 출신의 대형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개인 신용대출에 집중하면서 가계대출 비중이 더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OK·SBI·웰컴·JT친애·현대·페퍼저축은행 등 개인 신용대출이 많은 6개 저축은행이 전체 저축은행 신용대출 규모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금리가 계속되면서 저축은행으로 예금은 몰려오는데 돈 빌려줄 곳은 개인 신용대출뿐"이라며 "대형 저축은행들이 개인 신용대출로 수익을 올리는 것을 보고 많은 저축은행이 따라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가계대출의 상당 부분이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연 소득 3천만원 미만) 층인 취약차주라는 점이다.
지난해 말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16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취약차주 대출 비중은 32.3%였다.
특히 이들 대부분은 연 20%가 넘는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 과거 카드 사태처럼 이들을 중심으로 연쇄 부실화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류창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으로 저소득 다중채무자들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경기 부진으로 한계상황에 몰리면 과거 소액신용대출 사태처럼 부실이 폭증할 수 있다"며 "가계대출의 속도 조절과 함께 지속적인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아일보] 강태현 기자 thkan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