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교육이 잘되기 위해서는 교육계뿐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는 소통 채널이 필요합니다.”
김희규 국민행복교육포럼 공동대표(신라대 교수·52, 사진)는 “정권이 바뀌면 교육에서도 너무 분명한 두 갈래의 노선이 나온다.”며 “모두가 교육을 함께 고민하고 논의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행복교육포럼이 박근혜 정부의 ‘행복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관변단체 아니냐는 지적에 행복교육은 이념이나 정파적 이해관계를 떠나 우리 교육이 지향해 나갈 방향이라며, 관변단체 역할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그는 정부가 잘하면 힘을 보태고, 잘못하는 게 있으면 과감한 비판과 함께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며, 정부 정책을 무조건 지지하거나 비판할 게 아니라 사안에 따라 지원, 비판, 대안을 제시하는 민간 차원의 단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의 교육공약’행복교육’에 대해”학생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행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중심 교육이 실현돼야 한다. 교사가 변하면 교실이 변하고, 교실과 학교가 변하면 학생도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교육의 입시 위주의 경쟁체제, 능력보다는 학력 위주의 배타적이고 이기주의적인 문화, 학력의 신분 세습화, 부모의 사회 경제적 대물림 현상 등이 문제라고 짚었다.
김 공동대표는”이 때문에 학교폭력과 인명 경시 풍조, 도덕 불감증이 확산하고 있어 이제 학생과 학부모가 실제 체감하는 만족도, 행복지수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며” 단순 지식 위주의 타율적인 교육행태에서 학생들이 체험하고 만들어 가는 창의적인 교육으로 대전환을 시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