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대폭 줄어 OECD 평균과 비슷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 비중은 우리나라가 오히려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결과 2022년 기준 주당 50시간 이상(실근로시간)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253만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근로자의 12% 수준으로 OECD 평균(10.2%)과 비교하면 1.8%p(포인트) 높지만 과거보다 크게 낮아졌다.
지난 2002년 한국의 5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47.9%로 절반에 가까운 근로자가 50시간 이상 일했다. 하지만 2002~2022년 OECD 평균이 2.1%p 감소하는 동안 한국은 35.9%p 줄었다.
주당 6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OECD보다 더 낮아졌다. 2022년 한국의 주당 6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3.2%로 OECD 평균(3.8%)을 밑돌았다. 지난 2002년 22.1% 대비 18.9p 줄어들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실근로시간과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 모두 우리나라가 더 이상 장시간 근로 국가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며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근로시간을 더 단축하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장시간 근로 해소가 정책 목표가 될 시기는 이미 지났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규제 위주 근로시간 정책 패러다임을 유연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패러다임으로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