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글 책임교육'(미리 공부하지 않아도 초등학교에서 한글을 깨우치는 교육방식)을 시행하고 있지만 학부모 10명 중 9명은 여전히 입학 전 한글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글날인 9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여론조사(2020년 11월 여론조사기관에 의뢰)에서 미취학 아동(5∼7세) 및 초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3∼6학년 자녀를 둔 부모 1000명씩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을 둔 학부모 중 '현재 한글 교육을 하고 있다'는 응답은 87.2%로 였다.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원, 제주 '92.7%', 서울 '92.2%'로 특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자녀 연령별로 보면 5세 학부모 '81.0%', 6세 학부모 '88.2%', 7세 학부모 '92.2%'가 한글교육을 실시했다고 응답했으며, 자녀 연령이 높을수록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정부의 '한글 책임교육에 대해 알고 있다'(218명)고 답한 부모 중 '한글 교육을 한다'는 학부모모는 '92.2%'로 나타나 '한글 책임교육을 모른다'고 답한 학부모(782명) 중에서 '한글 공부를 시킨다'는 학부모(85.8%)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한글 책임교육'에 대해 인지한 것과 별개로 선행학습을 실시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중에는 '88.0%', 3∼6학년 학부모 중에선 '89.4%'가 입학 전 자녀에게 한글을 교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 한글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질의했더니 미취학 아동 부모의 경우엔 '초등학교 1학년 교육에 적응시키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44.2%'였고, '다른 아이들이 대부분 한글을 익히고 입학하니까' (19.5%), '다른 공부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18.6%) 등의 응답을 보였다.
초등학생 학부모 역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취학 전 한글 실시한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55.5%)와 초등학교 3∼6학년 학부모(56.9%)는 '초등 1학년 과정의 적응을 위해서' 취학 전 한글을 교육했다고 답했다.
학부모들의 한글 교육 방법으로는 '보호자가 직접 지도'한다는 응답이 모든 연령대 조사에서 가장 높았고, '바람직한 한글 교육 시작 시기' 조사에선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경우, '만 5세'(38.9%)로 가장 높았다. 다만 서울 지역에서는 '만 5세'(35.7%)보다 '만 3∼4세'(36.4%) 때 한글을 가르쳤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반면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및 초등학교 3∼6학년 학부모의 경우, '바람직한 한글 교육 시작 시기'에 대해 '만 6세'라는 응답이 각각 48.6%, 40.8%로 나타났다.
정부의 '한글 책임교육 정책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응답은 미취학 학부모의 경우, '21.8%',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는 '28.3%', 초3∼6 학부모는 '30.4%'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는 2017년 신규 교육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면서, 각 학교에서는 초등 1∼2학년 한글 교육 시간을 종전의 2배로 늘렸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여전히 한글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초등학교에 입학할 경우, 자녀가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우려해 사전 한글 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 자녀를 둔 서울소재 직장인 L(33)씨는 "유치원에서부터 한글을 모두 다 떼고 알파벳은 물론 영어몰입교육까지 배우고 입학하는 친구들이 많은 상황에서 학교만을 믿고 내 자녀만 한글을 가르치지 않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부터 놀이 한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 상황에서 맞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랩에 의뢰해, 2020년 11월18∼27일 전국 학부모 및 예비 학부모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각 조사 대상별 95% 신뢰 수준, ±3.1%포인트 오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