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가 87.6으로 전년동기 보다 4.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2년 하반기 경기전망을 조사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5일 밝혔다.
중소기업 하반기 SBHI는 87.6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 대비 5.6포인트 상승했지만 지난해 하반기 경기전망지수 91.6, 상승폭 14.0포인트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기타 운송장비(127.3) △가죽, 가방 및 신발(104.6) △인쇄및기록매체 복제업(100.0)이 호전을 예상했다.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54.2) △섬유제품(54.2) △전기장비(68.2) 업종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업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112.0) △운수업(100.0)이 업황개선을 전망했다. △부동산업 및 임대업(60.0) △도매 및 소매업(84.0)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86.0)은 부진할 전망이다.
항목별 경기 체감실적 및 경기전망에 대해서는 매출(84.1→91.2), 영업이익(81.2→87.7), 자금사정(81.4→88.9), 공장가동률(89.4→91.2) 모두 상반기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역계열인 인력·설비수준은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부족할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겪은 애로요인으로는 원자재가격 상승(62.6%)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내수 부진(35.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5.2%), 최저임금 상승(22.8%) 등이 뒤를 이었다.
하반기 예상되는 애로요인은 원자재가격 상승(58.8%), 내수부진(31.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8.4%), 최저임금 상승(19.4%)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반기 원자재가격 상승(3.8포인트↓)과 내수부진(4.0포인트↓) 응답 비중은 감소한 반면, 금리상승은 3.2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반기 모두 제조업은 ‘원자재가격 상승’, 서비스업은 상반기 ‘내수부진’과 하반기 ‘인력수급난’을 가장 큰 경영애로로 지목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경영실적 회복시기로는 2024년 이후(27.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2023년 상반기·하반기(23.0%), 2022년 하반기(14.8%), 2022년 상반기 달성(12.2%)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실적 회복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응답률을 보여, 중소기업의 업황개선 기대감이 다소 위축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하반기 최우선 경영전략은 경영 내실화(36.2%)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경영리스크 관리(19.2%), 외형 성장(18.8%), 지속가능경영 참여 확대(17.2%), 성장잠재력 확충(8.6%) 순으로 응답했다.
하반기 경기전망에 대한 우려로 응답기업의 55.4%가 경영 내실화(36.2%)와 경영리스크 관리(19.2%) 등 보수적인 경영전략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세금 및 각종 부담금 인하(61.4%), 금융지원(45.0%), 인력난 해소(34.6%), 원자재 수급 안정화(28.6%), 근로시간 유연화(20.0%)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만 잡히면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신3고'에 더해 글로벌 경기둔화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돼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지난해보다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중소기업의 활력회복을 위해서는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세제 개선, 금융지원 강화 등 경제활성화 조치와 더불어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기업활동의 장애물을 걷어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