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재 기업 절반 이상은 친환경 트렌드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했다. 정부와 기업은 ‘그린슈머(Greensumer)’를 겨냥한 지원 정책과 마케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친환경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국내 기업 51.3%가 ‘친환경 트렌드가 자사의 수출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변했다.
‘코로나19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는 기업도 52.1%에 달했다.
보고서는 최근 글로벌 소비재 시장을 ‘그린슈머’가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린슈머는 2021년 기준 글로벌 소비자 중 53%에 해당한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20%포인트(p) 가량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는 서유럽, 동유럽, 아시아·태평양,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 등 6개 지역 친환경 소비시장을 △시장 성숙도 △소비자 영향력 △기업 인식 △정책 환경 등 4개 부문별로 분석했다. 가장 유망한 시장은 서유럽으로 나타났으며 오세아니아가 뒤를 이었다.
친환경 제품 수로는 서유럽이 120만여개로 가장 많았다. 시장 성장률은 오세아니아가 10.1%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오세아니아 소비자들은 친환경 제품 구매 의사 비중(33.6%)과 구매력(4만6567달러)이 높아 소비자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유럽과 오세아니아는 환경성과지수(EPI), 기후위기대응 정책평가지수(CCPI Climate Index) 등도 타 지역대비 높아 정책 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글로벌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대응전략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 친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를 타깃으로 △소비자 경험 극대화 △친환경 경영활동 공개 등 마케팅 전략과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요소 적용하기 △그린워싱(친환경 위장) 방지 △친환경 인증 취득 등 대응전략을 제안했다.
임지훈 무역협회 연구원은 “우리 수출기업의 적극적인 친환경 제품개발과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지원기관에서도 금융·기술·마케팅 지원뿐 아니라 친환경 산업 통계 구축, 해외 상호인증협정 활성화, 해외인증 획득 지원 등을 강화해야한다”고 말했다.